2025/07/01 2

폐교 재생 사업, 단순한 공간 복원이 아닌 지역 관계망의 복원

학교가 사라진 마을, 무엇이 함께 무너졌는가농촌이나 지방 소도시에서 학교는 단지 교육을 위한 공간이 아니었다. 마을의 중심이자, 세대 간 연결의 매개이며, 지역 공동체가 스스로를 확인하고 교류하는 상징적인 장소였다. 그러나 학생 수 감소와 도심 집중화로 인해 전국적으로 폐교가 속출하면서, 단지 물리적인 건물만이 아니라 지역의 관계망, 일상의 네트워크, 공동체의 기억까지 함께 사라졌다. 폐교 재생 사업이 주목받기 시작한 것도 바로 이 지점에서다. 초기에는 건물의 물리적 활용에 초점이 맞춰졌지만, 점차 그 본질이 “잃어버린 지역의 연결 구조를 어떻게 다시 회복할 것인가”라는 질문으로 옮겨가고 있다. 공간을 단순히 리모델링하는 것을 넘어서, 그 공간을 중심으로 과거에 존재했던 사람과 사람, 세대와 세대, 마..

폐교 활용 07:18:00

폐교 부지 내 ‘태양광 발전소’ 설치의 환경적 가치

더 이상 사용되지 않는 폐교에 햇빛이 전기를 만든다한국 농산어촌 지역에서는 인구 감소로 인해 해마다 수십 개의 학교가 문을 닫고 있다. 이처럼 학생이 떠난 폐교 부지는 장기간 방치되거나 일부는 임시 창고 등으로만 활용되어 지역 자원의 비효율적 관리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왔다. 그런데 최근, 이러한 폐교의 교정이나 옥상, 부속 부지를 활용해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폐교는 이미 일정 규모의 토지와 건물 구조물을 갖추고 있어 초기 부지 조성 비용이 적게 들고, 외부와 격리된 형태가 많아 발전 설비 설치에도 유리하다. 더불어 에너지 전환이 국가적 과제로 떠오른 지금, 지방 소규모 태양광 발전소의 거점으로서 폐교 부지는 주목받는 대상이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폐교 부지 태양광 발..

폐교 활용 02:1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