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어 있는 건물보다 더 무거운 건 ‘관계의 단절’농산어촌 지역의 폐교는 단순한 공간의 소멸이 아니라, 공동체의 붕괴를 상징하는 사건으로 받아들여진다. 학교는 그 자체로 마을의 중심이었고, 아이들의 웃음소리와 마을잔치, 학부모의 참여, 이웃 간의 교류가 오갔던 ‘사회적 광장’이었다. 하지만 학생 수 감소와 도시집중화로 폐교가 늘어나면서,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결 통로도 함께 끊겨버렸다. 이런 상황에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이 바로 폐교 활용을 통한 지역 공동체 회복이다. 폐교를 단지 리모델링해 문화센터나 복지관으로 바꾸는 데 그치지 않고, 주민이 다시 모이고, 이야기를 나누고, 새로운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사회적 재생 공간’으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폐교 활용이 지역 공동체에 어떤 방식..